알리바바는 2036년까지 20억명 소비자, 1000만명 중소기업에 서비스 제공하며
세계 5대 경제 주체가 되겠다 선언했습니다.
단순 전자상거래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기술 회사가 아닌,
전자상거래 핵심 축으로써 물류와 금융, 엔터테이먼트 산업의 데이터를 클라우드 컴퓨터에 축적하고
인공지능을 통해 고도화된 서비스 제공하여 사회의 혁신을 불러일으키겠다는 것입니다.
알리바바는 자회사인 알리음악阿里音乐과 함께 샤미뮤직Xiami虾米音乐,
유쿠YOUKU优酷视频 , 알리바바픽처스Alibaba Pictures阿里影业 등
자사 생태계 내 엔터테이먼트의 기업 콘텐츠를 확보하여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알리바바는 한국의 SM엔터테이먼트 지분을 인수하기도 했습니다.
사물인터넷 기술이 음성기반으로 바뀌는 트렌드에 따라
음악은 앞으로 인공지능 스피커 티몰지니天猫精灵를 통한 음원 공급을 위해
샤미음악 등의 플랫폼 지속 성장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알리바바는 아마존 프라임처럼 더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하여 고객 묶어두는
88VIP 회원제를 도입하기도 했는데요. 알리바바 계열사 총동원하여
음식배달, 영화, 오락, 음악, 도서, 입장권 결제 등 생활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알리바바 충성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입니다.
또한, 다마이damai 大麦라는 콘서트, 공연 등 온라인 티켓 구매 플랫폼을 갖고 있습니다.
라이브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디지털 미디어와 엔터테이먼트 사업간 시너지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모든 콘서트, 연극, 음악회,운동경기, 전람회, 영화정보 다 들어오며
티켓 구매시 좌석까지 선정할 수 있습니다.
적합한 공연이나 경기를 추천해주는 서비스와 알리바바VIP회원에게 할인혜택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알리바바는 완다필름万达影城에도 전략적 투자를 했습니다.
완다필름은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 온라인 티켓 판매 플랫폼이 강화되어
영화 투자 배급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선전에 증시되어 있으며,
미국 시장 2위 대형 영화관 체인 AMC와 할리우드 영화 제작사 레전더리를 인수하여
세계적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중국내 영화관 시장점유율 1위로 최다 스크린을 보유하기도 했습니다.
알리바바는 완다필름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엔터 분야의 양질의 영화 콘텐츠 확보하였고
관련 사업 진행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중국 정치와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바바와 아마존의 차이 IoT 승자는(개방적 폐쇄적 생태계 플랫폼) (0) | 2023.04.24 |
---|---|
알리바바 티몰지니 인공지능 스피커 (알렉사 에코 구글홈 그 승자는) (0) | 2023.04.23 |
알리바바 영상 플랫폼 유쿠YOUKU로 광고효과 (아이치이 텐센트비디오) (0) | 2023.04.21 |
중국 공유 자전거 (오포ofo 모바이크mobike) 출혈 경쟁 (1) | 2023.04.20 |
중국 배달앱은 메이투안과 알리바바의 치열한 양강체계 (1) | 2023.04.19 |